발목인대 통증 원인과 관리 방법
안녕하세요 허니 정보 팁의 건강 소식 알려드립니다! 요즘 여름이 코 앞으로 다가오는 듯한 따스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네요.
화창한 날씨로 많은 분들이 나들이, 운동 등 야외활동을 많이 하시는데요. 야외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목인대 통증 원인과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주로 등산, 축구, 달리기 등 운동 시 또는 울퉁불퉁한 바닥과 굽이 높은 신발(하이힐 등)을 신을 때 발을 접질러 발목인대 손상이 자주발생합니다. 저 또한 축구를 좋아하기 때문에 경기 중 접질렀던 적이 많이 있습니다.
대부분 이런 접질려서 인대가 손상되는 질환을 발목염좌(Ankle Sprain)이라고 합니다. 발목인대는 내측과 외측이 있는데, 대부분 외측 측부의 인대 손상이 85%이상 차지합니다. 발목인대 손상의 대부분이 외측 측부의 인대 손상입니다. 왜 그럴까요? 우리의 다리뼈는 크게 경골(Tibia)와 비골(Fibula)로 두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내측에 있는 경골보다 외측에 있는 비골이 더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발목의 꺾임을 제한시켜주게 되며, 부상을 막아줍니다.
외측인대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 앞목말종아리인대(anterior talofibular ligament), 뒤목말종아리인대(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), 발꿈치종아리인대(calcaneofibular ligament)로 구분됩니다. 이름이 어렵죠? ^^ 아래 사진을 보시면 어떤 위치에 인대가 있는지 체크할 수 있습니다. 실제로 접질린 후 해당 위치들을 눌러 통증이 발생하는지 체크할 수 있습니다.
발목염좌의 경우 1도 염좌 , 2도 염좌 , 3도 염좌로 1도 염좌는 인대 섬유의 부분 파열 및 인대 내 출혈 등 불안정성이 없는 가벼운 손상을 말하며, 2도 염좌은 인대의 불안정성이 약간 야기될 정도의 불완전 손상, 그리고 3도 염좌 는 인대의 완전한 파열을 말합니다.
발목인대
해당 염좌의 진단은 전문가를 통해 판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 우선 우리가 부상당했을 시 가장 처음에 할 수 있는 치료법인
RICE 치료(휴식,냉찜질,압박,높이기)를 통해 통증과 붓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1단계이고, 일주일간 지속적으로 RICE치료 및 보조기 또는 테이핑을 한 후 관절가동범위 운동 및 근력, 유연성 운동을 하면 효과적입니다. 단, 앞서 말씀드렸듯이 진단을 통해 2차(재활운동)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여기까지 발목인대 통증 원인과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발목 염좌 는 누구에게나 자주 발생할 수 있으니 항상 예방하고 꾸준히 관리하시길 바랍니다.
앞으로 블로그에 알찬 꿀팁이 가득해질 예정이니 기대해주시고, 항상 건강관리하시길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^^